짹뚜 스튜디오

[블록체인] Public vs Private vs Hybrid 본문

개발 공부/블록체인

[블록체인] Public vs Private vs Hybrid

짹뚜 2022. 3. 3. 20:49

Public Blockchain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방형 블록체인으로 누구나 노드가 되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참여한 모두가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모든 거래 내역을 열람할 수 있다. Public Block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들이 서로 검증을 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지만 트랜잭션을 모든 노드들에게 공유하고 검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처리속도는 느리다.

Private Blockchain

Public Blockchain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승인받은 사람들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중앙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때문에 Blockchain의 목적인 탈중앙은 아니지만 Blockchain의 데이터 분산 저장 기술과 보안성은 유지하기 때문에 기업에서 주로 사용한다.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중앙이 있기 때문에 각 노드들에 권한을 다르게 줄 수 있다. 그리고 승인받은 사람들만 참가하기 때문에 Public Blockchain 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노드 수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Hybrid Blockchain

Public Blockchain과 Private Blockchain이 혼합된 형태로 각 Blockchain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Blockchain이다. 따라서 Public Blockchain의 탈중앙화, 보안성, 투명성 등등의 장점을 가지면서 각 노드들에 데이터 접근 권한을 다르게 줘서 기밀정보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Consoritum Blockchain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Hybrid Blockchain으로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수의 기업이나 단체들이 컨소시엄 (하나의 집단)을 형성해서 그 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리눅스 재단이 주도하는 Hyperledge 프로젝트가 있다.

'개발 공부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O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하기  (0) 2022.04.07
caver-js-ext-kas 를 활용한 클레이튼 API 구현  (0) 2022.04.06
[암호화폐] 채굴  (0) 2022.03.07
[암호화폐] UTXO  (0) 2022.03.03
[블록체인] 블록체인이란?  (0) 2022.03.02
Comments